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출구전략, 정부의 돈 잔치는 끝났다 출구전략의 정의와 특징 출구는 말 그대로 '밖으로 나가는 문'입니다. 출구전략은 기본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전략입니다. 원래 군사용어로, 군대를 안전하게 전선 밖으로 퇴각시키는 시나리오를 뜻합니다. 이 용어는 베트남전쟁 때 미국 국방부에서 처음 사용했는데, 승산 없는 베트남전쟁에서 인명이나 물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군대를 철수시키는 작전에서 비롯됐습니다. 출구전략은 경제 분야에서도 필요합니다. 경기침체라는 위기 상황을 빠져나갈 때 쓸 수 있는 경제정책입니다. 좋지 않은 상황에서 철수한다는 의미처럼, 비상 상황에서 벗어나 경제정책의 기조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말합니다. 지난 2008년, 세계 경제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 정부는 경제위기를 극복.. 2023. 10. 20.
골디락스, 고성장에도 물가가 오르지 않아요 골디락스 정의 및 유래 골디락스는 '경제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고성장을 거듭해 국민소득이 늘어나면 물가가 오르고, 국민소득이 줄어들면 물가가 내려가는데, 골디락스는 고성장 중인데도 물가가 오르지 않는 바람직한 상황인 것입니다. 골디락스는 '금'과 '머리카락'의 합성어로, '금발 머리'라는 뜻입니다. 금발 머리와 경제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데 이런 표현이 생긴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골디락스는 영국의 낭만파 시인 로버트 사우디가 1837년에 쓴 동화 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금발 머리 소녀 골디락스가 숲 속을 거닐다 우연히 곰 세 마리가 살고 있는 집을 발견합니다. 그 집에는 아빠 곰, 엄마 곰, 아기 곰이 살고 있었는데, 마침 곰 가족.. 2023. 10. 19.
거시경제학, 산을 볼 것이냐 나무를 볼 것이냐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비교 경제를 공부하면서 자주 듣는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지에 따라 나뉩니다. 비유해서 설명하자면, 산에 올라 나무를 보는지, 아니면 산 전체를 보는지의 차이입니다. 예를 들어 옷값, 택시비, 커피값 등의 개별 가격이 미시경제학에 속한다면, 각 물건의 평균 가격을 나타내는 물가는 거시경제학에 속합니다. 미시경제학은 경제활동의 주체인 가계와 기업, 정부의 선택과 행동을 하나하나 구분해서 분석하고, 시장의 균형에 관심을 갖습니다. 기업에서 생산량을 어떻게 조정해서 가격 수준을 어떻게 유지하면 이윤이 극대화되는지 등을 연구합니다. 미시경제학은 가격을 비롯해 기업매출, 독점과 과점, 가계소득, 저축 등 다양한 시장에서 자원배분이 어떻게 이.. 2023. 10. 18.
블랙컨슈머, 기업의 골칫거리 고객 블랙컨슈머로 인한 고통 각종 SNS를 통해 소문이 삽시간에 일파만파 퍼지는 시대인지라, 기업은 이러한 블랙 컨슈머들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경찰청은 2016년 9월 갑질 고객, 이른바 블랙 컨슈머를 잡아내기 위해 100일간 특별단속도 벌였습니다. 그 결과 한 달 동안 1,289건을 적발하고 69명을 구속했습니다. 남성이 89.6%로 압도적이었고, 여성은 10.4%에 불과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와 40대가 절반을 넘었고, 직업별로 무직자 32.8%, 회사원 18.3%, 자영업자 17% 순이었습니다. 사회학자들은 블랙 컨슈머의 주 계층이 40~50대 중년 남성인 이유로 그들의 성장 환경과 교육 배경 그리고 사회적 지위에 따른 과도한 스트레스 등을 꼽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무너진 지위를.. 2023.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