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행동주의 투자자, 이익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요 행동주의 투자자의 개념 및 전략 행동주의 투자자는 특정 기업 지분을 사들이고 경영권에 개입해 지배구조 변화나 주주 배당 확대 등을 적극 요구해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투자자를 뜻합니다. 즉, 행동주의 투자자란 지분을 사 모은 후 경영권에 개입해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투자자입니다.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가장 많이 오르내린 외국의 한 회사가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였습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막기 위해 각종 소송을 제기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결국 삼성물산은 제일모직과의 합병에 성공했지만 이 사건은 외국계 기업이 한국의 기업에 언제든 '감 놔라 배 놔라'의 지시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 됐습니다. 한국도 .. 2023. 10. 12.
콜금리, 부르면 달려오는 초단기 자금 콜금리 정의와 콜시장 이번 포스팅에서는 콜금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콜금리는 '콜(초단기자금)에 대한 금리'입니다. 영어로는 'call rate'로 표기하지만, 이 표현은 미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콩글리시입니다. 그럼 '콜'은 무엇일까요? 은행도 일시적으로 돈이 부족할 때는 자금 여유가 있는 다른 은행에서 돈을 빌려 씁니다. 돈을 빌리는 기간은 대개 하루나 이틀 정도로 초단기입니다. 이와 같은 은행 간 자금거래는 대개 중개 역할을 하는 단자회사가 중개수수료를 받고 도와줍니다. 이렇게 초단기 자금을 요청하는 것 또는 이러한 초단기 자금을 '콜'이라고 하며, 여기에 붙는 금리가 바로 '콜금리'입니다. 금융시장은 대부 기간에 따라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으로 나뉩니다. 흔히 기업이 운영자금을 조달할.. 2023. 10. 12.
무역 장벽의 개념과 종류, 이유와 목적, 한계와 극복 무역 장벽의 개념과 종류 무역 장벽은 국가 간의 상품과 서비스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어렵게 하는 정책, 제도, 규제 등을 의미합니다. 무역 장벽은 주로 관세와 비관세적 장벽으로 나뉩니다. 흔한 형태 중 하나인 관세적 무역 장벽은 수입된 상품에 대한 세금 또는 관세를 말합니다. 이는 수입된 상품의 가격을 높여 국내산을 더 경쟁력 있게 만들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고부가가치 상품에는 종종 높은 관세가 부과되며, 이는 수입품의 가격을 높여 국내산의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비관세적 무역 장벽은 관세 이외의 다른 형태의 제한 조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규제, 표준, 라이선스, 원산지 표시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들은 특정 식품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거나, 특정 제품의 수입을 허가하.. 2023. 10. 10.
피크 포인트 정의, 예시, 경제 환경, 예측과 대비 피크 포인트의 정의와 예시 피크 포인트는 특정 경제 지표의 최고점을 의미합니다. 이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강도와 규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로 실질 GDP, 일자리 수, 소비 등과 같은 지표들을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경제학자들과 정책 결정자들에게 경제 상황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됩니다. 한 나라의 경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 나라의 GDP가 꾸준히 상승하다가 특정 연도에서 감소하기 시작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의 그 해가 피크 포인트입니다. 이 시점에서 경제는 극대화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경기 침체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피크 포인트를 파악하는 것은 정부와 중앙은행 등 정책 결정 기관에게 경제 정책을 조절하고 대응.. 2023.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