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투자자의 개념 및 전략
행동주의 투자자는 특정 기업 지분을 사들이고 경영권에 개입해 지배구조 변화나 주주 배당 확대 등을 적극 요구해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투자자를 뜻합니다. 즉, 행동주의 투자자란 지분을 사 모은 후 경영권에 개입해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투자자입니다.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가장 많이 오르내린 외국의 한 회사가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였습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막기 위해 각종 소송을 제기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결국 삼성물산은 제일모직과의 합병에 성공했지만 이 사건은 외국계 기업이 한국의 기업에 언제든 '감 놔라 배 놔라'의 지시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 됐습니다. 한국도 언제든지 엘리엇 매니지먼트와 같은 행동주의 투자자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입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크게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합니다. 첫 번째 전략은 손실 회피 전략입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손실을 느끼는 정도가 이득을 느끼는 정도보다 두 배 정도 더 크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심리학적 특성 때문에 손실을 피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두 번째 전략은 리밸런싱 전략입니다. 이들은 자산 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포트폴리오 내 각 자산의 비율이 변화할 때 이를 인지하고 다시 균형을 맞추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는 자산 간의 분산을 유지하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행동주의 투자자 '칼 아이칸'
대표적인 행동주의 투자자로는 '칼 아이칸'이 있습니다. 칼 아이칸은 기업사냥꾼으로 불리는 투자자입니다. 한동안 미국재계에는 칼 아이칸의 이름이 자주 등장했습니다. 아이칸이 미국의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 이베이에 자회사인 페이팔의 분사를 강력하게 요구한 사건 때문입니다. 페이팔은 지난 2002년 말 이베이가 인수한 온라인 결제서비스 회사입니다. 온라인결제가 일반화되면서 이베이의 핵심사업인 온라인상거래가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페이팔은 2013년 4분기에 18억 4,0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려 이 기간 이베이 총수익의 41%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페이팔은 온라인 외에도 오프라인 매장까지 결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었는데, 온라인을 고집하는 이베이의 정책과 부딪혔습니다. 그러자 이베이 지분 2.2%를 보유하고 있던 아이칸은 페이팔의 독립이 이베이와 페이팔 둘 다를 위해 좋다며 페이팔의 분사를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결국 2014년 10월 이베이는 아이칸의 요구에 따라 이베이 분사를 최종적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이베이의 결정은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됐습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이러한 투자철학을 주주행동주의라고 합니다. 즉 주주들이 회사 경영방식에 사사건건 간섭하는 것입니다.
피해 사례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기존의 소극적 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투자 방식을 선호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에는 기업의 미래 실적을 분석하고 예측해 투자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뤘다면, 이제는 직접 경영에 개입하고 기업의 미래 실적을 바꿔 적극적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공세에 미국 대기업들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한 예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2013년 투자회사 헤지펀드 밸류 액트에 이사회 의석을 제공하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밸류액트가 MS 지분을 0.8% 사들이고 나서 경영에 본격 참여하겠다는 신호를 보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는 밸류액트에 이사회 의석 하나를 내줬고, 그 대가로 밸류액트는 회사 지분을 5% 이상 매입하지 않고 경영간섭을 자제할 것에 합의했습니다. P&G도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입김에 몸살을 앓았습니다. 2010년 이후 P&G는 경쟁사 유니레버에 밀리면서 실적이 부진해졌습니다. 2010년 이후 13분기 중 9회나 매출 전망치를 달성하지 못하자, 투자자들은 P&G의 경영 형태에 불만을 품었습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P&G가 보유한 200여 개의 브랜드 중 수익성 높은 브랜드에만 집중해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결국 2014년 8월, P&G는 투자자들의 요구에 따라 매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비핵심 브랜드 매각을 발표했습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입김이 기업의 브랜드를 제거할 만큼 막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