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윔블던 효과, 경제학에서 꼭 알아야 하는 용어

by 늘마드 2023. 8. 22.
반응형

윔블던 효과

윔블던 효과 기원 및 부정적인 영향

윔블던 선수권대회는 세계적인 테니스대회입니다. 영국의 윔블던에서 해마다 열리는 오픈 테니스 선수권대회로, 1977년 제1회 대회가 열린 이후 매년 6월 넷째 주부터 7월 첫째 주에 걸쳐 열리고 있습니다. 13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이 대회는 처음에는 영국 상류사회 중심의 폐쇄적인 클럽 경기였습니다. 그런데 1968년에 프로와 외국 선수에게도 문호를 개방하며 오픈대회로 바뀌자, 영국 선수가 우승하는 것을 보기가 가뭄에 콩 나듯 어려워졌습니다. 실제로 남자 단식경기에서 영국 선수가 우승한 것은 1934년 이후 3년 간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정도로, 윔블던 선수권대회는 외국 선수들의 잔치로 변모하고 말았습니다. 이 때문에 '개방으로 인해 한 국가의 금융업계 주도권을 외국 자본에 빼앗기는 현상'을 윔블던 효과라고 지칭하게 되었습니다. 대문을 열어놓자 외국인이 몰려와 안방을 차지해 버린 격이 된 것입니다. 윔블던 효과의 부정적인 영향은 주로 시장 왜곡과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 건강 문제, 환경 파괴 등으로 나타납니다. 외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은 시장 메커니즘에서 고려되지 않아 시장 왜곡을 유발하며, 건강 및 안전 문제와 자원의 낭비, 환경 파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장이나 교통체계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은 주변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심각한 경우 호흡기 질환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속 가능한 경제 개발과 사회적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

윔블던 효과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는 1986년 영국 마가렛 대처 전 총리가 시행한 금융기관 개혁입니다. 영국은 금융시장을 개방하면서 규제를 대폭 철폐하는 개혁을 단행했고, 이에 경쟁력이 약한 영국 증권회사들이 줄도산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미국과 유럽 자본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영국 금융회사를 절반 이상 인수했고, 결국 영국의 금융시장은 외국이 장악하고 말았습니다. 국내 부동산시장도 윔블던 효과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특히 중국 거대자본이 제주도에 잇따라 대규모 투자계획을 밝히면서 제주도 부동산시장에 윔블던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례로, 중국 최대 부동산개발업체 녹지그룹이 제주 서귀포시에 약 1조 6,000억 원을 투자해 헬스케어타운 사업을 진행 중인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중국 자본이 국내 부동산시장에 유입되면서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 일각에서는 제주도 발전을 위해 중국 자본을 두려워하지 말고 전략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주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과 지출 규모가 일본인, 미국인 관광객을 합친 것보다 웃돈다는 것이 이와 같은 논리의 근거입니다. 그러나 거대 중국 자본의 국내 부동산투자 쏠림 현상에 대해 특히 제주도민들의 불안과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은행 제주 본부가 최근 중국 자본 유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 52.2%가 중국 자본에 대해 긍정적인 반면 제주도민의 58.9%가 부정적으로 응답했습니다. 이렇게 윔블던 효과는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정책적 대응과 사회적 복지

윔블던 효과와 외부성을 관리하고 사회의 전반적인 복지를 향상하기 위해 정책적 대응과 사회적 복지가 필요합니다. 정책적 대응은 외부성이나 윔블던 효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부, 기업, 개인 등이 취하는 조치와 전략을 의미합니다. 양적 외부성의 경우, 정부는 교육 지원 정책을 통해 사회적 복지를 높이거나, 공공재의 제공을 통해 사회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별 행위자의 이익만을 초점으로 하는 시장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기업은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노력할 수 있습니다. 부적 외부성의 경우, 정부는 환경 규제, 세금, 혹은 배출 허가 등을 통해 사회적 비용을 내재화하고 개별 행위자에게 직접적인 경제적 요소로서의 비용 부담을 부과함으로써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별 행위자들이 환경 보전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선택을 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정책적 대응은 사회적 복지를 증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외부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장은 사회적으로 비효율적인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정책적 조치를 통해 개별 이익과 사회적 이익을 조화시키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복지의 증진과 경제의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더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