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레버리지, 돈을 튕겨서 불리는 지렛대

by 늘마드 2023. 8. 8.
반응형

레버리지

레버리지에 대하여

부동산이나 주식과 관련된 뉴스가 나오면 단골처럼 등장하는 용어가 바로 '레버리지'입니다. 레버리지는 영어로 '지렛대'라는 뜻입니다. 지렛대는 무거운 물건을 움직이는 데에 쓰이는 막대기입니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이나 힘'을 말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영국과 호주에서는 레버리지 대신 'gearing'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레버리지 효과'는 사업 등 어떤 목적에 부족한 돈을 빌려 투자한 후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빌린 돈을 뜻하는 차입금 등 타인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 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도 레버리지 효과에 속합니다. 자기 자본이익률은 기업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돈, 즉 자본을 활용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자기 자본이익률이 20%라면 연초에 100원을 투자해 연말에 20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얘기입니다. 레버리지를 적절한 시기에 사용해야 더욱더 효과적입니다. 빚을 지렛대 삼아 투자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법은 주로 경기가 호황일 때 자주 사용합니다. 경기가 좋을 때 비교적 낮은 비용과 금리를 활용해 자금을 끌어모아 수익성이 있는 곳에 투자하면 막대한 수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투자할 때 꼭 레버리지를 활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금이 충분하다면 굳이 타인자본을 끌어모아 사업을 하거나 투자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남의 돈 없이 투자하는 것도 쉽지 않고 더욱이 별로 많지 않은 자기 자본으로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도 쉬운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돈을 빌려야만 사업이나 투자를 할 수 있는 게 냉정한 현실입니다.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

레버리지는 현명하게 사용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부채가 자기 자본보다 더 많으면 과다 차입이 됩니다. 과다 차입은 종종 위기로 이어지게 마련입니다. 이때 부채를 이용해 수익이 발생하면 '정(+)의 레버리지 효과', 손실이 발생하면 '부(-)의 레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타인자본을 이용하여 수익을 낼 때 '부(-)의 레버리지 효과'를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재무 위험을 평가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금리 상승, 경기 침체 등의 상황에 대비하여 레버리지를 관리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투자 결정할 때에도, 투자할 기업의 레버리지 상태를 파악하고 투자 대상의 레버리지 비율이 투자자의 투자 목표와 리스크 허용 수준과 부합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투자하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고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를 현명하게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은 재무 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우고 비용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부채를 사용하여 투자 또는 자산을 확대할 때는 해당 투자의 수익성과 환수 기간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부채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리 협상과 재무 구조 개선을 고려해야 합니다. 레버리지는 투자와 재무 관리에서 강력한 도구이지만, 현명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조언과 자신의 신중한 판단을 통해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디레버리지 정의 및 사례

부채를 통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대신, 빚을 갚는 경영 기법을 '디레버리지'라고 합니다. 디레버리지는 부채 등 차입을 줄이는 것을 뜻합니다. 기업이 경영 위기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는 가진 것을 모두 팔아 빚을 줄이는 게 상책입니다. 이때 디레버리지를 주로 사용합니다. 레버리지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부채를 감소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에는 디레버리지를 활용하는 것이 재무 안정성을 향상하고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레버리지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들 수 있습니다. 전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로 자산가치가 폭락하자 투자자들이 보유한 빚을 청산했기 때문이죠. 특히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 등 자산을 처분해 2008년 당시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한 적이 있습니다. 디레버리지가 급격하게 이뤄지면 금융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유동성 문제'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에서 주식을 대거 팔고 돈으로 바꿔 국내 금융시장에서 나가면서 원·달러 환율이 크게 치솟기도 했죠. 결국 디레버리지가 급격하게 이뤄지면 자산 가격이 폭락하는 등 유동성 문제가 커져 돈을 빌리기가 쉽지 않은 신용경색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과 개인이 빚을 줄이기에 급급해 경제를 퇴보시키는 현상을 흔히 '디레버리징 역설'라고 부릅니다. 앞서 설명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졌을 때 당시 은행과 투자자들이 모기지 관련 자산을 한꺼번에 처분하려다가 미국 경제가 휘청거린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