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업경기실사지수 정의, 구성 요소, 실제 사례

by 늘마드 2023. 9. 29.
반응형

기업경기실사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의 정의

기업경기실사지수는 경기에 대한 기업인의 예측을 수치화한 것으로, 경기 동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지수가 다른 지수들과 다른 점은 기업인의 주관적인 평가를 주축으로 작성한다는 점입니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경기에 대한 기업인의 시각을 알 수 있는 좋은 지표인 셈입니다. 전체 응답 업체 중 현재 경기가 호전됐다고 보는 업체 수의 비율에서 악화했다고 보는 업체 수의 비율을 차감한 값에 100을 더해 지수를 산정합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0~200 사이의 수치로 표시하며 100 이상이면 경기가 확장 국면에 들어갔음을 보여주고, 100 미만이면 수축 국면에 들어갔음을 보여줍니다. 즉,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을 것이라 예측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이와 반대라는 뜻입니다. 미국, 일본 등 50여 개국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한국은행, 대한상공회의소, 전경련,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등이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작성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3분기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는 85로, 전 분기보다 8포인트 정도 하락했습니다. 참고로 1998년 외환위기 당시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는 46이었습니다. 만약, 이 지수가 지난달 70이었다가 이번 달 조사에서 85로 높아졌다고 해도 기업인들의 경기가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기준치인 100에 미치지 못했으므로 여전히 경기가 호전됐다고 보는 이가 적기 때문입니다.

 

구성 요소

기업경기실사지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형성됩니다. 먼저, 생산량과 생산 활동은 경제 활동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는 특정 기간에 기업이 생산한 제품 및 서비스의 양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경제의 활성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생산 활동은 경기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주문과 판매 현황 역시 경기 상황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는 기업들이 얼마나 원활하게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많은 주문과 판매 활동은 경기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고용 상황은 또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거나 축소하는 정도는 경기 상황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고용이 확대되면 경기가 호전되고, 그 반대의 경우 경기 둔화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 활동은 기업들이 자본을 어떤 정도로 투자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큰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수록 경제는 활발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는 기업의 성장과 경기 상황을 파악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재고 변동은 또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로, 제품이나 물품의 재고량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재고가 증가하면 시장에서의 수요가 감소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경제 정책 변화는 기업들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세금 정책이나 금리 조절 등의 변화는 기업들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주어 경기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한 예로 2008년 금융 위기가 있습니다. 이때 경기 침체의 전조로서 기업경기실사지수의 하락이 먼저 나타났습니다. 금융 시장에서의 불안이 기업들의 투자 의욕을 저하시키고 고용 상황을 악화시켰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경기실사지수는 미리 경제적 변화의 신호를 주어 정부와 기업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정부는 경기 부양책을 마련하고, 기업들은 경영 전략을 다시 검토하여 경기 침체를 극복했습니다. 또 다른 예시로는 1990년대 초반의 일본의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당시 일본은 '불황의 10년'이라고 불리는 어려운 경기 상황을 겪었습니다. 이때 기업경기실사지수는 일본의 경제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기업들의 생산량이 감소하고 주문이 줄어들면서 경기의 둔화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더 큰 경기 침체의 신호로 받아들여졌고, 정부와 기업들은 적절한 정책을 시행하여 경제의 회복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 사례는 기업경기실사지수가 경기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며,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 다른 사례로 2020년의 코로나19 대유행이 있습니다. 이 비상 상황에서도 기업경기실사지수는 중요한 예측 도구로 작용했습니다. 다양한 산업에서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주문이 줄어들었는데, 이는 경제적 위기 상황을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경기 부양책을 도입하고, 기업들은 비상 경영 체제로 전환하여 경기 하강세를 최소화하려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있었기에 경제는 상황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기업경기실사지수는 실제 경제 상황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하며, 경기 변동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반응형